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7)
[DB] Transation Isolation Level Transaction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단위라고 하다 보니 정해진 범위가 있을 것 같지만 사용자가 정할 수 있는 범위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트랜잭션의 4가지 특징을 지키는 선 안에서 수행이 되어야 성공적인 트랜잭션의 사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자성 (Atomicity) 일관성 (Consistency) 독립성 (Isolation) 지속성 (Durability) 하지만 개발을 하다 보면 효율적인 성능을 위해 굳이 다른 트랜잭션에서 데이터 참조를 막을 필요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절대로 참조가 되면 안 되게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겠죠. 그래서 이러한 점을 개발자가 어느 정도는 설정을 해주..
[Ktor] Ktor 소소하게 알아보기 - Server 방식 개요 저희가 Ktor Application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Netty와 같은 서버 엔진을 구동시켜야 하고 이후에 저희의 application을 해당 엔진에 올려야 합니다. 모든 프로젝트의 시작이 될 이 부분을 Ktor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을까요? Ktor server application을 동작시키기 위한 서버 생성 방식 EmbeddedServer EngineMain EmbeddedServer embeddedServer() 메서드를 이용하는 방법이 서버를 구동시키기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아래의 예시는 Netty 엔진을 8080 포트로 띄우는 코드입니다. fun main() { embeddedServer(Netty, port = 8080) { routing { get("/") { call..
[Kubernetes] Kubernetes tls Secret 생성하기 Kubernetes에 TLS secret을 추가해야 할 일이 있어서 정리해놓으면 편하겠다 싶어서 정리하게 됐습니다. Openssl을 이용해서 Private Key, Public Key 생성 Private Key를 이용한 CSR(Certificate Signing Request 생성) CRT 인증서 만들기 CRT파일을 PEM파일로 변환 Kubernetes에 secret 생성 1. Openssl을 이용해서 Private Key, Public Key 생성 Private Key 생성 명령어 openssl genrsa -out [파일명] [bit길이] 예시) openssl genrsa -out test.key 2048 Public Key 생성 명령어 openssl rsa -in [privateKey 파일명] -p..